당뇨병, 근육통, 어혈, 뱃속출혈, 편두통, 류마티스성관절염, 반신불수, 항암, 악성종양, 가래, 기침, 양기부족, 부인병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. 학명 Parthenocissus tricuspidata 분류 포도과 서식장소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 크기 길이 10m 이상, 잎 폭 10∼20cm, 열매 지름 6∼8mm 지금상춘등(地錦常春藤)이라고 한다.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란다. 줄기는 길이 10m 이상 벋는다. 덩굴손은 잎과 마주나고 갈라지며 끝에 둥근 흡착근(吸着根)이 있어 담 벽이나 암벽에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는다. 꽃은 양성화이고 6∼7월에 황록색으로 피며,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. 열매는 흰 가루로 덮여 있으며 지름이 6∼8mm이고 8∼10월에 검게 익는다. 종자는 1∼3개이다. 잎은 가을에 붉게 단풍이 든다. 한방에서 뿌리와 줄기를 지금(地錦)이라는 약재로 쓰는데, 어혈을 풀어주고 관절과 근육의 통증을 가라앉힌다. 한국·일본·타이완·중국 등지에 분포한다.
▶ 담쟁이덩굴은 당뇨병의 혈당치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크다. 줄기와 열매를 말려 달여서 복용하면 상당한 효과를 본다. 하루 10~15g쯤을 물로 달여 복용하는데 오래 복용 하면 완치가 가능하다. ▶ 풍습성 관절염, 근육통, 어혈, 뱃속 갖가지 출혈 등에는 효력이 빠르다. 소주에 담가 3개월쯤 두었다가 가볍게 취할 만큼씩 날마다 마신다. 진통 효과가 뚜렷하고 10~20일 쯤 복용하면 웬만한 관절염이나 근육통은 거뜬하게 낫는다. ▶ 종양 치료에도 담쟁이덩굴을 쓴다. 피부에 생기는 육종이나 양성종양는 담쟁이 덩굴을 잘게 썰어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하루 10~15g을 복용한다. 갖가지 암이나 옹종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고, 남성들의 양기부족에도 효력이 있으며 가래나 기침에도 좋다. ▶ 담쟁이덩굴은 어혈을 없애고 아픔을 멎게 하며 몸 안에 있는 딱딱한 덩어리를 풀어 주는데 뛰어난 효력이 있는 약초이다. 술에 담가 우려내어 먹는 것이 효과가 빠르고 가루를 내어 먹거나 물에 넣어 뭉근하게 달여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있다. ▶ 담쟁이덩굴 술을 마시면 골절로 인한 어혈이 없어지고 골절 치유 효과도 빨라진다 . 종양 치료에도 담쟁이덩굴을 쓴다.
담쟁이덩굴을 약으로 쓸 때에는 반드시 나무를 감고 올라간 것을 채취하여 써야 한다 . 바위를 타고 올라간 것을 쓰면 독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 가능하다면 소나무나 참나무를 타고 올라간 것을 채취하여 쓰는 것이 좋다.
◈◈ 담쟁이 덩굴주 담그기 ◈ ▶ 재 료0, 담쟁이덩굴 줄기와 뿌리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1주일정도 말려서 사용한다. 0, 소주 1.8ℓ 100g 주 의 담쟁이덩굴을 약으로 쓸 때에는 반드시 나무를 감고 올라간 것을 채취하여야 한다. 바위를 타고 올라간 것을 쓰면 독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 가능하다면 소나무나 참나무를 타고 올라간 것을 채취하여 쓰는 것이 가장 좋다.
▶ 담그는법 ? 늦가을 단풍이 들기전에 채취하여 뿌리를 자르고 깨끗이 물에 씻은 다음 물기를 말린다. ? 줄기에 진이 나와서 끈적끈적 하다. ? 잘게 썰어서 담그고자 하는 용기에 집어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한다
? 서늘한 곳 또는 땅에 묻거나 6개월 정도 지나면 술이 완성된다.? 술이 완성되면 찌꺼기는 거름종이로 걸러 건져 버리고 보관한다.
▶ 복용방법- 하루 2~3회 (소주잔으로 한 잔씩) 공복시에 마신다.- 또는 가볍게 취할때까지 마신다. ▶ 효 과풍습성관절염, 근육통, 어혈, 뱃속의 갖가지 출혈등에 효과가 빠르다. 진통효과가 뚜렷하고 10~20일쯤 마시면 웬만한 관절염이나 근육통은 거뜬히 낫는다. 또 어혈이 없어지고 골절치유 효과도 빨라진다.
|